교육과목

∎ 스마트 헬스케어 (Smart Healthcare)

현대사회는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고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 삶의 질 향상에 관심이 커지면서 헬스케어 패러다임은 이미 치료 중심에서 4P(Preventive: 예방, Predictive: 예측 Personalized: 개인맞춤, Participatory: 참여)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는 헬스케어에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여 개인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고 맞춤형 진료를 가능케 하는 지능형 서비스를 의미한다. 본 교과목은 헬스케어의 기본 개념과 내용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현대사회에서 건강이 지니고 있는 협의의 의미와 광의의 의미를 함께 토론한다.

∎ 건강과학 논문분석 (Paper Analysis of Health Science)

건강과학 논문분석은 건강과학의 테두리 안에 있는 학문적 영역을 먼저 살피고 구체적으로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의 구성 논리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연구재단 산하의 학술등지(후보)지, 건강관련 석사 및 박사논문을 검색하여 내용을 검토하고 동향을 파악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학습자 본인이 학위논문 계획서를 직접 작성해보도록 한다.

∎ 뷰티헬스산업론 (An Introduction to Beauty Health Industry)

뷰티헬스산업론 과목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뷰티헬스의 학문적 구조와 활용 범위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뷰티와 헬스가 접목되어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현 시점을 고려하여 변화되는 상황을 예측하고, 뷰티헬스케어 샵을 운영하는 마케팅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 뷰티헬스세미나 (Beauty Health Seminar)

뷰티헬스세미나는 뷰티산업의 메이크업, 헤어, 왁싱, 네일 등의 기존의 영역과 체형교정, 경락마사지 등과 같은 건강관련 분야와의 연관성에 대해 학습한다. 교수자가 정해주는 범위 내에서 학습자들은 뷰티헬스 분야에 관련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발표를 하면서 향후 뷰티헬스 분야의 나아갈 길에 대해 모색해본다.

∎ 질적연구방법 (Qualitative Research Method)

‌질적연구방법은 건강과학 논문작성을 위해 양적연구와 함께 진행되는 연구방법의 한 형태이다. 질적연구방법은 양적연구방법에 대비해서 적은 인원의 연구 참가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한 생생한 경험과 과정을 이론화시키는 사회조사연구의 한 연구방법이다. 본 교과목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건강과학 학위논문 작성법을 공부하며, 연구자로서 참가자들의 관찰방법과 서술방법을 학습한다.

∎ 측정평가 (Measurement and Evaluation)

‌측정평가는 과학적인 측정과 평가의 방법을 규명하기 위한 과학으로서 학문적 체계가 수립되었다. 즉, 측정평가는 과학적인 측정방법에 의해 사회조사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요인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고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건강증진을 위하여 사람들에게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어떠한 조건이 필요한 것인가를 밝히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 해부생리학1, 2 (Anatomy & Physiology 1,2)

‌해부생리학1과 2는 건강과학의 기초가 되는 과목이며, 자연치유와 뷰티헬스를 전공하는 학습자들에게 인체에 대한 전문적 학습과 이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교과목에서는 건강관리를 위한 해부생리학적 지식을 깊고 폭넓게 학습함과 동시에 건강중재 프로그램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접근한다.

∎ 한방다이어트연구 (Oriental Medicine Diet Research )

‌한방다이어트연구는 현대 과학적 다이어트 방법과 동양의학적 다이어트 방법을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학습하며, 한방다이어트를 통한 건강한 체형관리 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본 교과목은 기존의 음식의 종류와 섭식 방법 따른 이분법적 다이어트 방법이 아니라 동양의학적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접근한 체질론에 의해서 학습을 하며, 학습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다이어트 및 체형관리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교과목이다. 

∎ 바디워크 1, 2 (Body Work 1, 2)

‌바디워크는 신체의 손이나 지체(肢體)의 다른 부분을 사용하여 각종 동작과 특정한 방법으로 신체의 특정부위를 조작하는 방법을 말한다. 또한 테이핑 요법(sports taping)을 통해서 접착성이 있는 테이프나 붕대 등을 사용하여 신체의 해부학적인 특성과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여 각 부위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감아주는 처치방법을 학습한다. 본 교과목 에서는 기능교정과 피부 및 근육 층에 대한 인체 조직의 역할을 이용하여 매력적인 체형을 만드는 모션테이핑에 대한 실습도 진행한다.

∎ 화장품처방(Cosmetic Products Prescription)

‌화장품처방은 화장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 안전관리, 관계법령을 학습하여 맞춤형 화장품조제관리를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과목이다. 본 교과목은 화장품법의 이해를 비롯하여 화장품 제조, 품질관리, 유통과정, 안전관리까지 전반적인 학습을 진행하며 개정된 화장품 관련 법령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시한 내용을 공부하여 맞춤형 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학습합니다. 향후 개인 사업을 하고 있는 학습자에게 경쟁력과 레벨업을 시킬 수 있는 교과목이다.

∎ 동양의학(Oriental Medicine)

‌동양의학(東洋醫學)은 동양 방식 고유의 전통의학을 뜻하는 용어로 동양 전통의학이라고도 불리고 흔히 한의학(韓醫學, 漢醫學)을 지칭하며 한약(韓藥, 漢藥)을 사용한 치료법과 한방 물리 요법이 주된 치료법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비약물 무혈요법을 기준으로 자연치유에 맞는 학습법을 확인하고 교육한다.

∎ 영양학특론(Nutrition Special Lecture)

영양학은 인간의 영양 섭취와 관련된 지식을 식생활이나 의료에 응용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며, 때로는 회복시켜주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의 영역을 말한다. 본 수업에서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응용과학으로서의 영양학에 대해 식품이 인체 내에 흡수된 일련의 과정과 생명현상에 대해 학습하고 연구한다.

∎ 체형관리(Body Shape Management)

‌체형관리는 체계적인 운동방법과 식이요법 등을 이용하여 인체의 체중과 몸매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학문분야이다. 몸의 특성을 파악하고 신체균형 상태가 어떤지 기계로 측정하고, 적합한 운동처방, 식이요법, 마인드컨트롤 등으로 나뉘는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또한 체형과 체질을 고려하여 고객에게 적합한 식이요법을 처방하고, 운동 방법을 가르쳐주는 등의 체계적인 다이어트 계획을 세운다.

∎ 특수미용연구(An Introduction to Special Beauty)

특수미용 연구는 속눈썹 연장 및 펌, 왁싱디자이너, 스웨디시 마사지 기법 등의 특수미용 분야에 대해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는 과정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특수미용의 영역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학술적 범위와 실제 서비스에 대해 토론하고 학습한다.

∎온열요법1, 2(Thermotherapy 1,2)

온열요법에서는 자연적이고 통합적인 건강관리 기술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전인적 건강관리 추구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연치유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건강한 사람에게는 완전한 건강법을,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개선된 온열요법을 통합적으로 학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온열을 이용한 미용적인 측면과 자연치유적 회복 방법의 실제적인 내용에 대해 연구한다.

∎음악치유(Music Therapy)

음악치유는 치료적인 목적으로 정신과 신체 건강을 복원(rehabilitation)시키고 유지(maintenance)하며 향상(habilitation) 시키기 위해 음악을 사용하는 것이다. 음악 치료사가 치료적인 환경 속에서 치료 대상자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음악을 단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